SNS

숨(;sum) 가치를 더하다

교육의 가치에 재미와 의미를 더합니다.

교육안내
  • 교육프로그램 : 스토리텔링 강연가
  • 교육방법 : 강의형, 참여형, 실습형
  • 교육시간 : 2-4H
  • 교육대상 :
    - 트렌드를 파악하여 새로운 가치를 설계하는 역량이 필요한 분
    - 이야기의 소재를 발견하는 능력이 필요한 분
    - 공감을 끌어내고 의미를 창조하는 능력을 갖춘 스토리텔러를 꿈꾸는 분
교육내용

교육목표
  • 다양한 소재와 에피소드를 하나의 전체적인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다.
  • 인물/사건/배경이 적합하게 형성된 이야기를 목적에 맞게 만들 수 있다.
  • 적절한 미디어를 선정하고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함양하여 원활한 스토리텔링을 진행할 수 있다.
기대효과
  • 창의성과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한 스토리텔러로 성장한다.
  •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이야기에 녹여 전달하는 전문역량을 함양한다.
  • 의사소통 능력, 창의성, 공감 유도, 이야기 소재 탐색, 에피소드 조화 능력이 향상된다.
세부내용 “스토리텔링의 이해”
  • 스토리텔링과 스토리텔러의 개념&필요성
  • 스토리텔러가 가져야 할 요소: 미디어, 수용자, 스토리텔링 지식, 송신자, 메시지, 수신자, 메시지 효과
  • 스토리텔링과 스토리텔러의 현황과 전망
  • 수용자 유형의 종류&파악
“커뮤니케이션”
  • 커뮤니케이션의 개념, 중요성 이해
  • 전달 기법으로서의 프레젠테이션 전략
  • 영상&매체 간 코드 전환, 디지털 매체의 이해
“스토리텔링의 활용”
  • 마케팅 관련 스토리텔링: 스토리 융합으로 비즈니스 스토리텔링 이해,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비즈니스/마케팅 사례 및 체험
  • 고전 스토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
“스토리 창작하기”
  • 스토리의 이해(인지): 단순 각색, 번안, 개작, 모티브, 장르, 플롯의 이해
  •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: 등장인물, 사건, 배경, 플롯, 메시지
  • 스토리텔링 창작 실습
    1) 소재 발굴 및 스토리 창작: 다양한 소재와 에피소드를 하나의 전체적인 이야기로 구성하고 전체 프로세스를 통합
    2) 진정성 있는 스토리 창작: 진심을 담아 전달하고 이야기를 찾아내기(패턴, 결과, 교훈, 유용성, 약점, 미래의 경험, 기억)
    3) 창작 실습: 테마 선정→자료수집→시놉시스 작성→캐릭터 설정→플롯에 따른 글쓰기
    4) 평가 및 피드백: ‘작성한 창작 스토리를 어떤 미디어를 통해 어떤 대상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가’에 대한 설계를 분석&평가